본문 바로가기

IT생활

무료 호스팅 및 무료 도메인 이용하여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반응형

오늘은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설치하기 위한 실험용 무료 호스팅 및 무료 도메인을 제공하는 닷홈 사이트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 보는 것을 알아 보겠습니다. 요즘 N블로거나 D블로거, T블로거들이 가장 많이 힘들어 하는 것은 내 블로그의 지수가 갑자기 낮아지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다른말로 ㅈㅓ 품 ㅈㅣㄹ 블로그.)

일단 블로그의 지수가 떨어지면 트래픽이 급격히 빠지게 되어 N사나 D사의 유입이 거의 없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블로그를 오래 운영하는 분들은 구글에서 유입이 많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한두개는 꼭 운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무료 도메인 사이트나 무료 웹호스팅 사이트는 꽤 있지만 닷홈사이트를 선정한 이유는 메뉴가 한글로 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편하며 국내의 회사여서 속도가 빠르고 닷홈 도메인을 무료로 제공하기 때문에 추가로 도메인을 구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닷홈의 홈페이지는 아래쪽에 링크로 걸어 두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닷홈과 아무런 관계도 없으며 이글이 닷홈 광고도 아닙니다. 그저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가 좀 편해서 닷홈으로 정했습니다.



그럼 이제 닷홈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먼저 닷홈에 가입을 하셔야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가입을 했다고 가정하고 순서를 진행하겠습니다.

홈페이지 메뉴중 웹호스팅/무료호스팅을 선택합니다.

위 화면이 나오는데 "무제한 웹호스팅 FREE 신청하기"라는 버튼은 누르지 마시고 아래로 스클롤을 더 내리시기 바랍니다. 이 항목은 자신이 닷홈 도메인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에만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좀 더 아래로 화면을 내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디스크용량이나 트래픽은 좀 작긴 작네요. 하지만 워드프레스 공부용으로는 충분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오른쪽에 있는 무료호스팅 Like+는 페이스북에서 좋아요를 누른분들에게 무료로 제공해주는 것입니다. 디스크나 트래픽용량을 3배 더 주는군요. 저는 페이스북 로그인하기가 귀찮아서 그냥 무료호스팅으로 선택했습니다.

무료 호스팅 설명이 나오고 아래쪽에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 무료 호스팅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설정 정보가 나오는데 위와 같이 5군데를 입력하시고 아래쪽에서 신청하기 버튼만 누르면 끝납니다. 상기 내용은 이렇게 입력한다는 내용을 보여드리기 위해 적은 내용이며 실제는 아이디, 비밀번호 등이 위화면과 다르게 입력 되었습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위 화면의 xxx.dothome.co.kr을 주소창에 입력합니다.

예 멋지게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설치되었습니다. 이제 부터는 여러분의 취향에 맞게 워드프레스의 플러그인을 설치한다든지 테마를 바꾼다든지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자신의 워드프레스 설정화면으로 가시려면 주소창에 있는 자신의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주소 맨끝에 /admin을 붙이고 엔터를 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mstmk.dothome.co.kr/admin 이런식으로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처음 워드프레스 설정으로 가실때 관리자 아이디는 admin 이며 암호는 위에서 설정했던 관리자 암호를 넣으시면 됩니다. 



이런 관리자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이곳에서 워드프레스의 모든 설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시면 워드프레스 강좌가 많이 나오니 여러분도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한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료니 부담이 없잖아요. 


오늘은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공부용 무료 호스팅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용곻s 블로그]



반응형